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
4월의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독서 일기독서 일기 2024. 4. 27. 19:54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4/11 "나는 체호프를 게걸스럽게 읽는다. 그의 글을 읽으면 삶의 시작과 종말에 대해 무언가 중요한 생각을 곧 만나리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 쇼스타코비치 쇼스타코비치가 작가 체호프에 대해서 한 말이라고 한다. 체호프의 책도 읽어야 겠다. 아마 인간은 평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찾아 책과 영화, 드라마를 보지 않을까? 내가 그러하고 있다. 지금 을 읽고 있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지금 내가 그 책을 게걸스럽게 읽고 있다. 다른 책과 달리 빠르게 아무것도 메모하지 않고 읽고 있다. 아마 살면서 여러번 다시 읽을 것 같다."그것은 일단은 출생과 죽음이겠지만, 더 나아가 기쁨과 슬픔, 소유와 상실, 에로스와 타나토스, 만남과 이별 등등이기도 할 것이다. 나는..
-
3월 독서 일기 2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뉴서울 젤리파크 대학살>, <소년이 온다>,독서 일기 2024. 3. 29. 13:55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3/11 이상 작가하면 매춘밖에 생각이 안 나긴 한다. 그런데 이 책에도 매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더라. 창부는 예술가의 쌍둥이라며 데카당들이 따분한 삶의 탈출구를 매춘에서 찾았다는데.. 그야, 섹스를 하면 쾌락을 느끼고 따분함이 덜 하지 않을까? 따분함을 쾌락적으로 가장 쉽게 해소한 건데.. 게다가 여자를 만나서 천천히 관계를 진전시키는 것도 아니고 돈을 내고 성매매를 하는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해소한건데... 이게 뭔 예술인지.. 여성을 착취하면서 철학이랍시고 심미주의에 빠져 있는 게 어이가 없다.. 책 잘 읽고 있었는데, 이 부분은 정말 화가 난다. 이해할 수가 없다. 3/12 "저는 모국어에 갇혀 있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었는데 역설적이게도 그것이 바로 갇혀 있는 자의 생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