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빅 리틀 라이즈 1 / 범죄 / 미드 / 왓챠 / 여성서사드라마 후기 2019. 8. 2. 18:57
시즌 1을 드디어 다 봤다. 여성 캐릭터들이 많이 나오는데 아이들을 초등학교에 입학시킨 엄마들이다. 일 하는 엄마도 일을 그만둔 엄마도 있다. 초등학교에 아이를 입학시키고 만난 엄마들은 서로 뒤에서 욕하기도 싸우기도 한다. 흔한 여자들의 육아와 서로를 향한 질투와 가십 같은 이야기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그것보다 여성들의 연대가 더 큰 이야기이다. 여자들은 그렇잖아라는 대사가 넘치기는 하지만 정작 드라마를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매들린의 딸 관련 이야기도 그들이 떠드는 이야기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투와 가십은 주요 인물들보다 다른 엄마와 아빠들에게 가득했다. 드라마를 두 편을 남겨두고 좀 미뤄두고 있었기 때문에 기억이 가물하기는 하지만 이 드라마를 보기 전부터 누군가가 죽는다..
-
죄 많은 소녀 / 전여빈 / 고원희 / 전소니 / 여성 서사 / 스포 있음 / 왓챠영화 후기 2019. 7. 31. 22:20
후기를 바로 쓰기는 어려웠던 영화였다. 충격적이고 사실 폭력적으로 느껴진 영화였다. 학생들의 입장에서 더 바라볼 수 있는 영화였다. 그래서 경찰이라는 사람들이 선생이라는 사람들이 하는 말이며 행동이 너무 폭력적이었다. 그러면서 매우 현실적인 이야기이다. 수화를 하는 장면이 정말 충격적이었다. 수화를 아는 사람들은 영화를 거의 다 알고 보았을 것 같다. 사실 이 영화는 관객들이 수화를 모를 거라고 생각하고 만든 영화라고 생각이 든다. 어떻게 비장애인만이 영화의 관객이라고 생각한 건 아닐까 싶다. 처음에는 본인들이 잘못이 있어서 무언가를 숨긴다고 생각했다. 모든 이야기를 하기에는 두려울 수 있다. 하지만 소문은 더 커지고 가해자로 몰리는 아이를 어른들은 지켜주지 않는다. 아빠조차 이야기한다. 계집애가 처신을..
-
<경애의 마음> - 완독독서 일기 2019. 7. 30. 23:51
7월 30일 독서일기 드디어 다 읽어버렸다. 끝으로 가면 갈수록 그래서 어떻게 되는 거야라는 마음은 커졌고 끝이 궁금해서 그냥 다 읽어버렸다. 경애의 마음이 너무나도 이해되는 이야기였다. 그리고 끝까지 좋다. 마지막 장은 끝이 좋으면서도 끝내기 싫어서 천천히 읽었다. 책이란 어쩔 수 없이 몇 장 안 남았다는게 이게 마지막 장이고 옆 장은 여백이 가득한 것을 알 수 밖에 없으니. 경애의 태도도 상수의 태도도 좋았다. 어쩔 수 없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태도가 좋았다. 누군가는 상처받을 수 있지만 그래도 진실을 아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되서 다행이었다. 에일린과 헬레나란 인물도 좋았다. 너무 친절하지 않았으면 하는 경애의 마음도 이해되었다. 다정함을 악용하는 사람은 많으니까. 베트남이란 배경이 등장하는데 정말 씁..
-
<피프티 피플> - 2독서 일기 2019. 7. 30. 23:14
7월 30일 독서 일기 한승조 형은 '무리'하는 삶을 살고 자신은 그렇게 살지 않는다는 것을 표현한 부분이 재미었다. 개가 죽어갈 때 같이 있어준다는게 좋다. 그건 여유롭기 때문이겠지. 가족이 얼마나 편견을 가지고 구속하려는지 잘 표현되어 있다. 가족이 없다는 것은 편견을 가지고 본인의 삶에 끼어드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강한영 "모르긴 뭘 몰라. 다들 알고 있었으면서" 폭력을 정당화 시킬 때 쓰이는 표현이 많았다. 그리고 책은 폭력을 정당화 시킬 수 없다고 말한다. "상자를 챙겼다. 무겁지만 버거운 정도는 아니었다." 이런 내용을 소설로 만나고 싶었다. 가족이니까 떠나지 못하는 것은 이해한다. 이 문장이 가족을 떠난다는게 마음은 무겁지만 버겁지는 않구나라고 생각되었다. 때로는 가족보다 낯선 사람이 더..
-
<경애의 마음> - 2독서 일기 2019. 7. 29. 23:10
7월 29일 독서일기 "그런 풍경들은 뭔가 오래된 상실감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불안을." "아닌데 왜 그래? 왜 그래야 해, 너가?" 미유만한 친구가 없다. 너무 대단하다. 상수가 자꾸 자신을 설명해야 되는 것들은 남자다움이라는 틀에서 좀 벗어난 거였다. 정말 별거 아닌 것인데 말이다. 화장품을 들고 다닌다는 등. 이런 성 고정관념과 성역할에서 벗어나면 자꾸 설명해야 한다. 별 이유 없는데 말이다. 그런데 이런 이유를 사람들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면 그냥 군면제라고 말한다. 그러면 이해 한다. 군면제란 무엇일까. 남자다움에서 탈락된 것이다. 이런 말로 이해 해주다니 코미디스러우면서 슬프다. 현실에서 상수같은 인물을 찾아보기 어렵다. "살인은 연애처럼, 연애는 살인처럼" - 히치콕 영화를 두고 트뤼포..
-
<피프티 피플> - 1독서 일기 2019. 7. 28. 21:14
7월 28일 독서 일기 정세랑 작가의 책을 처음 읽는다. 기대 이상으로 좋고 재미있다. 옴니버스 식의 소설이다. 여러 명의 인물이 등장하고 그 인물들의 이름이 제목이다. 그런데 이야기가 이어지는 부분이 있어 더 재미있다. 권혜정 "아기들은 알아보지 못하니" 너무 웃겼다. 그러나 혜정이 억울하다고 생각한다. 아기들의 작음이 이 생각났다. 인턴과의 팔씨름 부분이 특히 좋았고 인턴의 성별이 궁금하다. 조양선 첫 문단만 읽고 눈치챘는데 알고 싶지 않음과 미루고 싶은 마음에 천천히 읽었다. 권혜정부터 이 책 뭐지 했는데 여기서 책 스타일을 단박에 눈치챘다. 양선의 혼란스러움과 정신없음이 잘 표현되어있다. 너무 충격적이고 계속 생각난다. 김성진 가족들은 그한테 정신병원에 가야 한다고 말했는데 그런 말을 들은 그가 ..
-
걸캅스 / 여성 서사 / 라미란 / 이성경 / 수영 / 형사물 / 스포 있음영화 후기 2019. 7. 27. 22:41
- 여성 형사물을 보고 싶으신 분들 - 를 재미있게 보신 분들 영화관에서 보면서 정말 많이 웃었던 영화이다. 그런데 또 많이 울었던 영화이다. 디지털 성범죄를 다루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여성이 피해자인 범죄이고 영화에서도 피해자인 여성을 경찰들 중 여성들이 구해준다는 것이 좋았다. 재미있는 부분이 매우 많았고 시리즈가 계속 나와서 아주 우러먹었으면 좋겠다. 지금까지 우리가 흔하게 본 남자만 드글드글 나오는 한국영화의 딱 여성판이다. 과 거의 비슷하다. 그런데 우리는 한국영화에서 이런 스토리 뻔히 보지 않았나? 그것을 여성들이 하니까 새롭고 지금까지 한국영화를 보면서 느낀 불편함 없이 편하게 볼 수 있어서 즐거웠다. 이런 영화가 더 많이 필요하다. 잘 나가던 형사가 결혼하고 애 낳고 오니 민원실로 밀려 난다..
-
여고생 / Girl on the edge / 청불 / 공예지 / 박예영 / 스포 있음영화 후기 2019. 7. 26. 02:56
- 여성 캐릭터들이 이야기를 끌고 가는 것을 보고 싶으신 분들- 을 재미있게 본 분들- 날라리 여캐와 조용하고 친구 없는 여캐의 케미가 보고 싶으신 분들 포스팅을 하고 난 후 딱 봐서 그런지 계속 윤아와 주리가 생각났다. 닮은 부분이 많다. 윤아는 의 진숙을, 주리는 의 은영을 닮았다. 영화는 과 비슷한 장면이 나오는데 주리만 있을 때 담임선생님이 윤아를 노는 애라고 생각하며 말을 하듯이 이번에는 진숙이가 나가자 형사가 은영에게 말한다. 진숙이 날라리니까 조심하라고. 그런데 여기서 대답하는 말도 아주 웃기다. 주리와는 다르게 대답한다. 어떻게 배경도 겨울이라 더 비슷한지. 제목을 왜 이라고 했는지 모르겠다. 제목 때문에 영원히 안 볼 뻔했다. 의외로 되게 재미있다. 영어 제목으로 하거나 가장자리에 ..